본문 바로가기

JAVA/전자정부프레임워크

두번째 온라인 강의

728x90

강사가 다르다.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첫번째 강의 강사님이 훨씬 나았다

용어가 너무 전문용어라서 듣다가 잘 모르겠는 용어는 검색해서 뜻 적어놓고 다시 봤다.

 

듣다가 skip하고 그냥 다시 가이드대로 연습해보았다.

파일도 다 가이드에 링크되어 있다.

https://www.egovframe.go.kr/wiki/doku.php?id=egovframework:dev3.6:gettingstarted 

 

egovframework:dev3.6:gettingstarted [eGovFrame]

본 가이드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기반의 단순한 응용프로그램(HelloWorld)를 직접 실습해 봄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의 기본 기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제공한다. 본 가이드

www.egovframe.go.kr

 

내가 제일 어려웠던 것은 Maven환경설정이다. setting.xml이 대체 어딨다는거야?

차장님께 간단하게 여쭤봤는데 프로젝트 하면 pom.xml처럼 자동으로 생성되는거라고 하신거같다(?) 사실이해못함 

그래서 강의를 듣기 시작한건데 용어가 너무 어렵다.

가이드를 보면 settings_3.6.zip파일을 따로 링크해줬다.

maven repository_3.6.zip파일을 받아 eclipse와 같은 디렉토리에 넣어준 후 들어가서 보니까

settings.xml을 눈 씻고 찾아봐도 볼 수가 없었다..! 그래서 setting파일을 다운하라는건가

아래의 사진에 있는 settings.xml은 내가 따로 넣은 것이고, 실제로 처음에는 repository폴더만 있다.

 

가이드에서 설명은 저게 끝이다.

디렉토리를 수정하라 하는데 xml파일은 없고,

다음 설명은..이클립스를 실행한 뒤에 settings.xml파일이 수정한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라는데

파일이 없는데 어떻게 확인해요???????????????!

 

그렇게 구글링이 시작되었고.. 마침내 왜 없는지 알게 되었다 !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 작업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들의 기본 설치 경로는

C:\Users\(사용자 이름)\.m2\repository에 위치한다.

그대로 해도 되는 지는 모르겠으나, 관리 편의상 나는 이클립스와 같은 폴더에 넣었으므로 이 경로도 바꿔주어야 했다.

window > preferences > maven > user settings로 들어가면 , 경로가 나와있다.

 

user settings의 경로 : c:\users\(사용자이름)\.m2\settings.xml

local repository의 경로 : c:\users\(사용자이름)\.m2\repository

 

이 user settings의 경로를 바꿔주어야 하는데, 처음에 maven 설치 후에 settings.xml이 없었으니 저 경로로 들어가면 있겠지?하고 경로를 따라가보니 없는 경로였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2폴더 자체가 없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떻게 바꾸냐구요..?(멘붕)

 

결론은?

maven 공식 홈페이지에서 소스를 다운받아 압축을 풀면 존재하는 파일인데,

이클립스만을 받아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없는게 정상! 

아니 그럼 가이드에 maven 파일링크걸어줄 때 setting파일도 같이 넣지 그랬어요

 

그래서 첫번째 사진에 있는 settings.xml파일을 다운받아서 두번째처럼 압축을 푼 maven 디렉토리 안에 넣어주었다.

그렇게 한 뒤에 다시 preferences로 가서 확인해 보니, 자동으로 변경되어 있었다(안될경우 update settings 클릭)

 

user settings의 경로 : C:\eGovFrameDev-3.6.0-64bit\mvnrepository_3.6\settings.xml

local repository의 경로 : C:\eGovFrameDev-3.6.0-64bit\mvnrepository_3.6/repository

 

그렇게 100%이해한 것도 아니고 잘 모르겠으나, 경로를 변경하는데 성공했고

가이드에 나와있는대로 프로젝트 HelloWorld파일을 다운받아 Import하였다.

 

나머지는 가이드대로 하면 돼서 순조롭게 진행하였고, framework 구조를 구경하였다.

서비스 속성 정의 파일인 context.xml의 bean, property, value에 의존되어 결과가 나타나더라..!

bean이름도 바꿔보고 value도 바꾸면서 테스트해보았다. 그냥 재밌음

 

일단은 이렇게만 하고 더 공부해야겠다.

개발자로 취업했으나 글만 보면 개발자가 아니라 괴발자+쌩초보다

 

ps.자바의정석이라는 책을 구매하였다.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 quick start책도 구매할까 생각중,,

728x90